IT/보안
Mysql 접속 에러 해결하기 - Can't connect to local MySQL server through socket '/var/lib/mysql/mysql.sock' (2)
그래도널
2018. 5. 15. 09:12
ERROR 2002 (HY000): Can't connect to local MySQL server through socket '/var/lib/mysql/mysql.sock' (2)
서버 작업 중 위와 같이 Can't connect to local MySQL server through socket '/var/lib/mysql/mysql.sock' (2)에러가 나왔을때 해결 방법
(출처: 제타위키 , 저작자: Jmnote)
1 문제상황 1: MySQL 설치 후
[root@zetawiki ~]# find / -name mysql.sock
- → mysql.sock이 없다.
1.1 상황 1: MySQL 클라이언트만 설치됨
- mysql-server 설치 확인
[root@zetawiki ~]# rpm -qa | grep ^mysql
mysql-5.1.69-1.el6_4.x86_64
mysql-libs-5.1.69-1.el6_4.x86_64
- → mysql-server 패키지(서버)가 설치되어야 하는데, mysql 패키지(클라이언트)만 설치되어 있다.
- 해결방법
- 다음 명령어로 mysql-server 패키지를 설치하자.
yum install mysql-server
1.2 상황 2: mysqld가 시작되지 않음
[root@zetawiki ~]# rpm -qa | grep ^mysql
mysql-5.1.69-1.el6_4.x86_64
mysql-libs-5.1.69-1.el6_4.x86_64
mysql-server-5.1.69-1.el6_4.x86_64
- → mysql-server가 설치되어 있다.
[root@zetawiki ~]# service mysqld status
mysqld is stopped
- → mysqld 가 중지되어 있다.
다음 명령어로 실행하면 된다.
service mysqld start
위와 같이 했는데도 내 서버에서는 여전히 같은 오류를 뱉어내고 있었다.
해결 방법은 의외로 간단했다.
[root@localhost ~]#df -h
mysql이 설치된 볼륨 사용량이 100%라서 발생했던 문제.
볼륨에 불필요한 파일 삭제 후 서비스 재시작 했더니 정상적으로 처리 되었다.
자나깨나 용량 확인.
728x90